알라딘

헤더배너

서양철학 로드맵

eBook으로 보기 저자별 추천 목록 다운로드
스피노자(Benedictus de Spinoza) 1632 ~1677
스피노자의 삶:

스피노자는 1632년 암스테르담 유대인 공동체에서 태어났다. 1656년 추방령(herem)에 의해 쫓겨나기 전까지 이 공동체 안에서 교육받고 성장하였다. 그에 대한 헤렘의 정확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영혼 불멸을 부정하는 등 유대교의 근간을 뒤흔드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는 점이 주요한 이유로 추정되고 있다. 스피노자의 본격적인 철학적 여정은 추방 이후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1662년 데카르트의 철학을 설명하는 책 『데카르트의 철학의 원리들』을 출간하면서 유럽 지성계에서 명성을 얻게 된다. 그러나 이 ‘유대인 철학자’는 계속해서 세상과 거리를 유지하면서 철학적 성찰과 저술 활동에만 몰두하였다. 그러나 그렇다고 그가 현실에 눈감고 살았던 것은 아니었다. 반대로 그는 그 누구보다도 자신이 살고 있는 현실을 보다 좋은 환경으로 만드는 것에 관심을 가졌던 ‘실천적’ 철학자였다. 1670년에 익명으로 출간한 『신학 정치론』은 네덜란드 공화정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정치적 자유와 신앙의 자유를 옹호하기 위해 쓴 책이었다. 그의 철학이 갖는 실천적 특징은 그가 자신의 철학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책에 ‘윤리학(Ethica)’이라는 이름을 붙였고, 생애 마지막에 그가 전념을 다해 씨름했던 문제가 바로 ‘정치’였다는 점에서도 잘 드러난다. 그는 1677년, 자신의 주저 『에티카』의 출간을 보지 못한 채, 그리고 쓰고 있던 『정치론』을 완성하지 못한 채 덴하흐에서 숨을 거두었다. 안경 세공으로 생긴 폐결핵 때문에 건강이 좋지 못했던 것이 그 이유였다. 이 두 저작과, 역시 미완성으로 남아 있던 『지성 개선론』은 1677년 친구들에 의해 『유고집』으로 출간되었다.

스피노자의 사상:

스피노자의 철학적 사유를 추동하고 이끌었던 것은 고전적인 윤리의 문제, 즉 우리 인간은 어떻게 참된 행복에 이를 수 있는가, 하는 문제였다. 이 점에서 그의 철학적 문제의식은 고전 철학자들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른 것이 있다면, 그는 이상 속의 인간이 아니라 현실 속에 있는 그대로의 인간을 보고자 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스피노자는, 허구적 인간상을 만들어 냈던 두 형이상학적 전제들인 목적론과 자유 의지론을 비판하고, 새로운 형이상학적 토대 위에서 인간과 인간의 윤리 및 정치를 새롭게 설명하는 작업에 착수하게 된다. ‘필연론’이나 ‘내재론’ 등으로 불리는 그의 형이상학은 기본적으로 그 ‘탈인간주의’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 인간에 대한 현실적 이해는 인간을 ‘왕국 속의 왕국’이라는 예외적이고 특권적인 존재가 아니라 ‘자연의 한 부분’에 불과한 것으로서 파악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스피노자의 형이상학과 윤리–정치론이 근대를 넘어 탈근대의 철학들과 공명하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스피노자, 단계별 읽기:
step1,2,3 step1 step2 step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