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어린이/유아

이름:박일

출생:1946년, 대한민국 경상남도 사천

최근작
2025년 3월 <아동문학을 돌아보다>

나를 키운 바다

나이가 들어 갈수록 동심으로 살아가는 것이 옳다는 생각이 듭니다. 동화작가 안데르센도 이 세상에 가장 아름다운 것은 어린이라고 했지요. 그리고 이 동시집(제10동시집)에 들어 있는 「사랑 줍기」처럼 사랑도 넘치는 세상이 되면 얼마나 좋을까요? (……) 이 동시집에는 꿈과 동심과 사랑이 들어 있을 것입니다. 우리 가정은 물론 우리 사회도 꿈과 동심과 사랑이 넘쳤으면 좋겠습니다.

별이 필요해

이제 별이 필요하지 않나요? 개똥벌레 아시죠? 반딧불이의 다른 이름입니다. 옛날에는 마을 근처에서도 흔히 만날 수 있었지요. 빛을 내며 날아다니는 걸 보면서 ‘어린 왕자’를 생각하곤 했습니다. 지금은 환경오염으로 대부분의 서식처가 파괴되어 멸종위기에 놓여 있답니다. 이제 별이 필요하지 않나요? 강과 바다가 오염되고, 기후의 변화도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를 넘어 지구 열대화가 된다네요. 폭염, 가뭄, 산불, 폭우나 태풍의 피해가 잦아지고, 새로운 바이러스까지 생겨 우리들의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다네요. 경제는 먹고 사는 문제지만 환경은 죽고 사는 문제입니다. 지구는 자손 대대로 살아가야 할 우리들의 집입니다. ‘독수리 오형제’처럼 지구를 파괴하는 괴물들과 싸워야할까 봐요. 가끔 초등학교 앞을 지나다 물방울처럼 튀어나오는 아이들을 만납니다. 그 모습이 너무 싱그럽고 예쁩니다.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이 “이 세상에서 내가 본 것 중 가장 아름다운 것은 어린이였다.”라는 말이 떠오릅니다. 어린이보다 예쁜 꽃이 있을까요? 어린이보다 빛나는 별이 있을까요? 어린이보다 아름다운 세상이 있을까요? 외손녀 솔비가 그려준 그림 몇 점도 올렸습니다. 원고를 선뜻 받아준 도서출판 브로콜리숲 김성민 사장님 고맙습니다. 이 세상의 어린이들에게 이 동시집을 드리면서, 동심이 빛나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24년 초여름에

할아버지의 섬

[표현적 글쓰기]의 저자 제임스 W. 페니베이커는 “무언가 당신을 힘들게 한다면, 그때 글을 쓰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했다. 그런데 이렇게 마음이 가벼워졌는데 글이 솟는 것은 무슨 이유인가. 2023년 겨울, 제주도에서 한달살기를 했다. 카멜리아 힐에서 찬란한 무지개를 보았는데, 다음 날, 손주 동하가 S대에 합격했다는 소식이 날아왔다. 동시를 쓰면서 하지 못한 언어들이 제 세상을 만난 듯 활개를 펴면서 봇물처럼 터지는 것이었다. 즉흥시들이었다. 내게 이런 감성이 있었던가? 이듬해(2025) 외손자 한결이도 형을 따라 합격했으니, 영광의 제곱은 이런 것인가. 윤동주는 ‘인생은 살기 어렵다는데 시가 이렇게 쉽게 씌어 지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쉽게 쓴 시」 부분)라고 했는데, 이게 부끄러운 일은 아닐까? 누구나 시심詩心은 있겠지만, 시인은 아무렇지도 않게 보아 넘기는 것에도 유의미한 그 무엇으로 전환 시키는 사람이다. 사소하고 보잘것없는 것에도 남몰래 가슴 아파하고 괴로워할 줄 아는 사람이다. 문학은 그런 체험의 산물이다. 그러나 문학은 현실이 아니다. 현실 너머의 현실이거나 비현실의 현실일 수 있다. 어쩌면 바다에 부서지는 눈부신 윤슬 같은 환상일 수도 있다. 백세 시대에 여든은 별것 아닐 수 있다. 동갑내기 트럼프 씨는 미국대통령도 하지 않는가. 헤밍웨이는 ‘나이를 먹었다고 해서 현명해지는 것은 아니다. 조심성이 많아질 뿐이다.’라고 했지만, 일본의 할머니 시인 시바타 도요는 98세에 첫시집 [약해지지 마]를 출간하면서, ‘나도 괴로운 일/ 많았지만/ 살아 있어 좋았어//너도 약해지지 마’라고 했었지. ‘나이 이길 장사’는 없다. 세월은 무자비하게 나이만 던져놓고 내 몰라라 한다. 불안해지고, 다리 힘이 빠지고, 가슴 두근거림이 많아지고, 공허해지기도 한다. 절해고도絶海孤島에 갇힌다는 생각에 ‘섬’을 덧붙이고 보니, 나는 여든의 바다에 뜬 섬이었다. 백팔 편에 맞추니, ‘백팔번뇌’다. 번뇌 아닌 삶이 있는가. 5부로 구성했다.Ⅰ부 ‘휘어진 파도소리’와 Ⅱ부 ‘주름살처럼 검은’은 할아버지로 살면서 느낀 감회와 회한이다. Ⅲ부 ‘눈물에 말아먹은’은 전쟁과 가난을 겪어온 고통과 눈물, 어머니의 삶과 고향 이야기 등, Ⅳ부 ‘별이 뜬 것처럼’은 아내와 가족, 손주와 나누는 사랑과 행복 이야기 등, 그리고 Ⅴ부 ‘ᄌᆞ들지 맙시앙’은 제주도 한 달 살기를 하면서 체험하고 느낀 것들이다. 밉다가도 고운 것이 사랑이라는데 곱게 밉게 50여 년을 같이 살아왔다. 눈물겹도록 고맙다. 부모와 같이 산 시간보다 훨씬 많다. 후딱 지나간 바람 같은 세월을 돌아보며 아내의 존재가 내 삶이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우리나라는 예의와 인정의 민족이었고, 노인의 삶과 지혜와 성찰을 존중했다. 이 시집이 할아버지를 이해하는 따뜻한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사회가 점점 메말라간다. 공자는 정치는 덕德이라고 했는데, 날 선 비판과 싸움과 질시가 끊이질 않는다. 종교인은 많다는데 사랑과 자비도 이기주의로 흘러가고 있는 것은 아닌가. 문학이 동심과 사랑과 감사를 회복하는 동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천상병 시인의 「귀천歸天」을 되뇌어본다.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가서, 아름다웠다고 말하리라.’ 날마다 즐거운 소풍날이었으면 좋겠다. 2025. 봄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